반응형
netstat
netstat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수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입니다. 특히 서버끼리 통신 시 포트 허용여부를 확인하려고 많이 썻습니다.
netstat 컬럼 설명
- Proto : 프로토콜 종류. TCP / UDP (tcp와 tcp6의 차이는 IPv4와 IPv6 를 의미합니다)
- Recv-Q : process가 현재 받는 바이트 표기
- Send-Q : process가 현재 보내는 바이트 표기
- Local Address : 출발지 주소 및 포트. 자신의 주소 및 포트 (: 뒤는 포트를 나타냅니다)
- Foreign Address : 목적지 주소 및 포트 (0.0.0.0:* tcp의 모든 아이피를 뜻하며, [::]:*의경우 tcp6의 모든 아이피를 뜻합니다.)
- State : 포트의 상태 표기.(LISTEN - 포트가 열려있는 상태ESTABLISHED - 연결되어 있음)
netstat 예시
내부의 모든 IP의 SSH(Local Address, 0.0.0.0:111) 외부의 모든 IP의 모든 포트에 대한(Foreign Address, 0.0.0.0:*) 요청을 기다리고(Listen) 있다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데이터엔지니어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sbt 설치하기 (0) | 2023.07.07 |
---|---|
[linux] sbt 설치방법 (0) | 2023.04.05 |
Mac m1 brew 설치 및 warning: /opt/homebrew/bin is not in your path 에러해결 (0) | 2022.07.09 |
centos7에 jupyter notebook 실행하기 (0) | 2019.12.13 |
-bash: /usr/bin/yum: /usr/bin/python: bad interpreter: 허가 거부 해결 (0) | 2019.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