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른 사람들과 협업한 repository를 삭제하는 방법을 적어본다

 

깃 메인화면에서 프로필사진을 누른 후

 

Settings를 누른다
왼쪽메뉴의 Repositories를 누르게되면
이런 창이 뜨고 Leave를 눌러주면 협업 Repositories가 삭제된다

반응형
반응형

시험결과

 

 

휴... 간당강당하게 합격했다. 
이번시험이 특히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여 과락이 되지 않을까 걱정하였지만
과락없이 겨우 턱걸이로 합격하였다

 

 

 

 

 

 

 

 

 

 

 

시험교재

 

 

기본개념은 데이터진흥원에서 나오는 책으로 하였다. 

시험을 주관하는 곳에서 나온 책이기때문에 이책을 볼 것을 추천한다

 

 

이책은 문제를 풀기 위하여 구매하였다. 
개념서 안에 문제가 생각보다 많이없어 위에 개념서문제만 보고갈 경우 시험떄 당황할수 있다.
그래서 꼭 위에 책이아니더라도 문제가 많은 책 한권정도는 사서 푸는 것을 권장한다.
주변을 보니 데이터에듀에서 나오는 책을 많이 보는 것 같다.

 

 

 

 

 

 

 

 

 

 

시험공부 tip

시험공부는 총 10일 하루에 3시간정도 공부한것 같다.
사실 통계학과라 기본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있어 시간이 적게 걸렸고
처음 시작하는 분은 넉넉히 3주정도 생각하고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tip1

 

개념서 정독!!

모든 공부의 기본은 책은 한번이상은 정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번정독하게 되면
공부해야 할 방향이 보이고 전체적인 개념이 생기기 떄문에 꼭 정독을 해야 하며
시간이 없다면 1번 시간이 많으면 시간날때마다 읽는 걸 추천한다.
특히 빅데이터 준전문가를 따는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데이터 분석가를 꿈꾼다고 생각하는데,
그에 필요한 전체적인 개념을 정리 할 수 있는 좋은 책이므로 자격증 공부한다는 생각도 가지지만
나의 데이터 분석가로써의 역량을 키운다는 생각으로 공부하게되면 재밌고 머리에 조금 더 들어오는
느낌이다.

 

 

 

tip2

 

기출문제 풀이

 

사람들이 자격증시험을 볼 떄 가장많이 간과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개념서3회독 후 시험을 보는것과
개념서 1회독 후 기출문제를 푸는 것을 비교할때 
주관적이지만 두번째 사례가 시험에 통과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한다.
아무리 분량이 많아도 사실 시험에 낼 수 있는 문제는 한정되어 있고 벌써 14회차나 되다보니
중복된 문제가 나올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개념서 정독 후 기출문제를 풀게되면 다음에 기본서를 읽을때 내가 어디에 중점을 두어 읽어야 할지 방향이 보이므로 꼭 기출문제 풀이를 추천한다.


기출문제 복원은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포럼(http://cafe.naver.com/sqlpd)에서 찾을 수 있다.

 

 

 

tip3

 

배경지식

사실 이부분이 가장 어렵다. 
adsp 주최측에서는 시험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개념서에서 나오지 않은 개념들을
시험으로 자주 그리고 많이 낸다. 이러한 부분은 매시험마다 항의가 들어오지만
바뀌지 않으므로 우리의 자세를 바꿔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회가 날때마다 4차산업혁명에 관련된 뉴스를 보면 도움이 된다.
특히 자격증만 따면 끝이 아닌 데이터 분석가를 위한 목적이기 떄문에 이러한 뉴스가 향후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 팁으로는 시험의 난이도가 한회차가 어렵다면 다음회차는 쉬운 추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바로 따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전회차 시험의 난이도를 검색해보시고 시험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이번 14회차가 굉장히 어려웠으므로 15회차는 조금 난이도가 쉽게 나오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이것으로 adsp 포스팅을 마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