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월이 살린장을 옐런이 망쳤네요 ㅎㅎ

fomc이후 발언에서 옐런이 모든 은행의 예금을 보호하지는 않는다고 발언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은행주 주가가 더 가파트게 내려가는걸 볼 수 있네요 

 

금융주 계좌 공개(3월22일 장 끝난후)

공포탐욕지수(23년 3월 22일자)

시장의 하락으로 공포지수는 공포쪽으로 약간 움직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또한 fear쪽으로 움직였네요

기존 공포 탐욕지수

암호화폐 공포 탐욕지수

현재 느낀점

 새로운 친구들을 소개합니다. frc는 기분삼아 4주를 구매하였고 bnku와 pacw를 추가 매수 하였습니다. 

pacw매수 이유는 처음에 frc를 추가 매수할까 하다 중소은행중 가장 재무적으로 튼튼하며, 하락폭이있는 주식을 골랐고 그게 바로 pacw입니다. frc에 자금이 더 들어갔다가 혹시나 모르는 파산이슈로 쉽게 매수버튼이 안눌러 지더라고요, 만약 샀다고 하더라고 계속해서 계좌를 쳐다볼거 같아 pacw를 사고 푹잤습니다. 아침에 보니 떨어졌네요 ㅎㅎ

 

다음글부터는 심경의 변화 또는 계좌의 변화가 있을 때 포스팅하겠습니다.

 

그럼 이만

반응형
반응형

매수 후 3일이 지나 계좌를 합쳤습니다. 은행주들이 대체로 상승하였으며, frc의 경우 30%상승하였지만 아직 손실이 매우 큰 상황입니다. 하락률이 크니 크게 상승해도 오르는 폭이 적은게 실감나네

 

금융주 계좌 공개(3월20일 장 끝난후)

 

금융주 매수 이유(공포에 매수 하라)

1. BNKU : 상위 10개의 은행주를 가지고 있는 ETF며, 대부분의 은행이 리먼사태를 겪고 버틴 기업이라 망할리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2. FRC : 현재 SVD나 CS 이후로 가장문제되는 은행입니다. 사실 운영등의 문제는 없으나 대중들의 공포 심리로 인출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뱅크런 이슈가 있었으나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합심하여 유동성을 공급해주었습니다.

 

여기서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지원을 하였는데, 은행이 파산하면, 그때는 은행주 뿐만 아니라 모든 주식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였으며, 높은 수익을 위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감행했습니다.

 

3. 다음은 공포 탐욕지수 입니다. 현재 나스닥 및 다우가 큰하락이 없음에도 탐욕/공포지수는 EXTREME FEAR에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은 3월21일날 캡쳐하였으며, 첫 매수일인 3월17일에는 24였습니다.

공포탐욕지수(23년 3월 22일자)

기존 공포 탐욕지수

암호화폐 공포 탐욕지수

 

현재 느낀점

대부분의 주식은 양전을 했지만 비중이 높은 frc의 경우 매우큰 하락폭으로 복구까지 시간이 걸려보입니다. 만약 추가 매수를 했더라면 좀 더 괜찮았을 텐데 추가하락이 무서워 추매를 못했네요. frc보다는 보다 안전한 bnku를 약 100만원정도 추가 매수한 상태입니다.

 

오늘은 목요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fomc가 있어 변동성이 있어보이며, 은행주 관련 언급을 하지않을까 생각되네요. frc추매는 조금 더 고려하고있습니다. 차라리 언급이안된 지방은행을 신규매수할지 고민입니다.

 

결론은 우선 오르니 기분은 좋다입니다. 이렇게 오를때 또 마음이 조급해져 무리한 추매를하다가 크게 다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부분 조심해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BNKU는 생각보다 강했고... FRC는 한없이 약했다.

 

금융주 계좌 공개(3월20일 장 끝난후)

 

1번 계좌

2번 계좌

금융주 매수 이유(공포에 매수 하라)

1. BNKU : 상위 10개의 은행주를 가지고 있는 ETF며, 대부분의 은행이 리먼사태를 겪고 버틴 기업이라 망할리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2. FRC : 현재 SVD나 CS 이후로 가장문제되는 은행입니다. 사실 운영등의 문제는 없으나 대중들의 공포 심리로 인출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뱅크런 이슈가 있었으나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합심하여 유동성을 공급해주었습니다.

 

여기서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지원을 하였는데, 은행이 파산하면, 그때는 은행주 뿐만 아니라 모든 주식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였으며, 높은 수익을 위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감행했습니다.

 

3. 다음은 공포 탐욕지수 입니다. 현재 나스닥 및 다우가 큰하락이 없음에도 탐욕/공포지수는 EXTREME FEAR에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은 3월21일날 캡쳐하였으며, 첫 매수일인 3월17일에는 24였습니다.

현재 느낀점

FRC가 너무 떨어졌습니다. 2번계좌에서 약간의 추매를 한것도 수익률이 -30퍼네요 ;; FRC의 경우 평단가를 낮 출 수 있는 기회지만, 이게 기회인지 떨어지는 칼날인지 감이안오네요.. 모든건 장전상황을 보고 판단해야할 것 같습니다.

 

BNKU의 경우 소폭의 상승을 보였고, UBS가 장전 -10퍼까지 떨어지다가, 양전하며 FAS및 BNKU가 상승한 것 같습니다. 아직 시장은 공포이며, 이 공포가 언제 끝날지 모르겠습니다. FRC의 경우 이미 손절 타이밍도 늦었고 위에 쓴 것과 같이 매수 이유를 되새기며, 기다려보려고합니다.

 

FRC의 경우 무리하게 큰 금액 추매는 아니고 천천히 2번계좌에서 추가매수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우선 이렇게 글을 쓰는 이유는 순간순간의 느낌과 감정을 기록하려고 합니다. 과거 코로나 사태 때 공포를 느껴, 주식을 처분하고, 최근 테슬라 급락때 120불에 매수하였지만, 견디지 못해 손절하였습니다. 앞으로 인생에 있어 주식시장에 공포가 다올 때 이글을 참고하려고 씁니다.

 

금융주 계좌 공개(3월17일 장 끝난후)

먼저 금융주 계좌를 공개합니다.

1번 계좌

금융주 매수 이유(공포에 매수 하라)

1. BNKU : 상위 10개의 은행주를 가지고 있는 ETF며, 대부분의 은행이 리먼사태를 겪고 버틴 기업이라 망할리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2. FRC : 현재 SVD나 CS 이후로 가장문제되는 은행입니다. 사실 운영등의 문제는 없으나 대중들의 공포 심리로 인출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뱅크런 이슈가 있었으나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합심하여 유동성을 공급해주었습니다.

 

여기서 10개의 은행과 국가가 지원을 하였는데, 은행이 파산하면, 그때는 은행주 뿐만 아니라 모든 주식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였으며, 높은 수익을 위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감행했습니다.

 

3. 다음은 공포 탐욕지수 입니다. 현재 나스닥 및 다우가 큰하락이 없음에도 탐욕/공포지수는 EXTREME FEAR에 있습니다. 아래 스크린샷은 3월21일날 캡쳐하였으며, 첫 매수일인 3월17일에는 24였습니다.

현재 느낀점

우선 BNKU와 FRC가 400만원씩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현재 약 1천만원 정도 매수하였으며, 최대 매입금액은 2천만원까지 생각합니다. 2천만원의 수치는 현재까지 제가 미국주식에 투자하여 수익이난 부분입니다. 

 

사실 BNKU에 더 높은 비중을 가져가고 싶은 마음도 있었지만, 이러한 기회? 공포?에 크게 돈을 벌기 위해 FRC또한 같은 비중으로 들어갔습니다.

 

소액으로 시작하여, 점점 추가매수를 진행하려고도 했지만 예를들어 FRC를 20만원 산 후 다음날 추가매수를 할 수도 없이 급등하게되면, 이것 또한 기회를 놓치는 것 아닐까 생각하여 처음부터 과감한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에러

위 에러는 Airflow localexcuter설치 중 Mysql과 연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였습니다.

해결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pip install mysqlclient 를 통해 설치하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에러 원인

보통 위와 같은 원인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두개의 True/False 값을 and / or연산으로 묶을 때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특정 데이터 프레임에서 몸무게가 50kg이상 키가 170cm이하인 사람을 찾을 때 

 

df['weight'] >= 50kg 과 df['height'] <= '170cm'이 두개의 조건을 and조건자로 찾아야합니다.

 

에러 문법

# and 연산자 1
# and 조건 대신 &를 쓰며, or조건의 경우도 |를 씁니다.
(df['weight'] >= 50) and (df['height'] <= 170)

# and 연산자 2
# 각각의 조건은 () 로 묶어야 합니다.
df['weight'] >= 50 & df['height'] <= 170

해결

df[(df['weight'] >= 50 & (df['height'] != 170)]
반응형
반응형

문제

최근 사내 스위치 문제로 서버를 재부팅해야하는 일이 있었는데, 재부팅 후 docker-compose up -d 를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ERROR: Couldn't connect to Docker daemon at http+docker://localhost - is it running?

해결

에러 내용과 같이 docker daemon과 연결이 되지 않아 발생하였고, 이유는 재부팅 과정에서 docker daemon이 실행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이 도커 서비스 시작 후 docker-compose up -d를 하면 도커가 잘 올라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ervice docker start
docker-compose up -d

 

반응형
반응형

docker 실습을 위해 wsl에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하려고합니다.

 

설치

검색에서 microsoft store를 클릭 후 원하는 운영체제를 검색합니다. 검색후 다운로드 및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중간에 cmd창이 열리면서 사용자명 입력하라고 하며, 입력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확인

powerShell로 실행했으며, 잘 설치 된걸 확인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